데이터 선정 기준

  • 침수 재해와 관련될 만한 데이터들을 공공데이터포털, 한국 환경 공단, 기상청 등에서 찾았다. 침수 요인을 분석한 여러 논문들에 나타난 예상 요인들 외에 주관적이더라도 침수가 발생하는 데 영향을 끼칠 만한 요인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골고루 수집하기 위해 다양한 사이트를 활용하였다.

사용 데이터 후보

한국국토정보공사 : 침수흔적정보

침수흔적정보

침수심

  • 데이터 : 침수심, 침수 원인 등

행정안전부 : 재해우려지역 현황

재해우려지역

  • 데이터 : 시도, 침수우려도로 등

환경 빅데이터 : 침수유발 기준강우량 데이터

침수유발 기준강우량 데이터

침수유발기준강우량

  • 데이터 : 침수 유발 기준 강우량 수치들

한국 환경 공단 : 하수도 보급률

하수도 보급률

  • 하수도 보급률이란?
    • 총 인구 중 공공하수처리시설 및 폐수종말처리시설을 통해 처리되는 하수처리구역 내 하수처리인구의 비율
    • 하수도 또한 ‘침수’라는 개념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. 도시하수시설의 처리능력이 침수 재해 발생 여부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.
    • 하수도 보급률 = (하수처리구역내 인구 + 총 인구) * 100
  • 하수처리구역 내 인구
    • 하수처리장이 설치된 지역이나 관할 지역내의 하수처리장은 없지만 타지역에 설치된 공공하수처리장으로 유입처리되는 경우의 처리인구와 하수처리시설이 아닌 폐수종말처리시설을 통해 하수처리가 이루어지는 지역 내 거주하는 인구
    • 총 인구 중 공공하수처리시설(마을하수도 포함) 및 폐수종말처리시설을 통해 처리되는 하수처리 구역 내에 거주하는 인구비율로 산정

하수도보급률

  • 데이터 : 행정구역명, 총인구, 총면적, 하수처리구역 내 물리적처리 공공하수처리인구, 하수처리구역 내 면적, 공공하수처리구역 인구보급률 등

한국국토정보공사 : 배수펌프장서비스

배수펌프장서비스

배수펌프장서비스

  • 데이터 : 처리능력(item/avilaty),배수면적(item/drng_area), 행정구역코드, 상세주소(item/detail_adm), 면적 대비 처리능력 등

한국국토정보공사 : 침수흔적정보 시간별 강우량

침수흔적정보 시간별 강우량

침수유발기준강우량

  • 데이터 : 침수당시 시간별 강우량 정보 속성데이터

한국국토정보공사 : 침수흔적정보 배수펌프장

침수흔적정보 배수펌프장

  • SHP 파일이라 데이터명세서를 참고하여 csv로 변환해서 사용하였다.

    배수펌프장

  • 데이터 : 배수펌프장 서비스와 거의 동일.

기상청 : 태풍목록

태풍목록

태풍목록

  • 데이터 : 태풍명, 발생일자

부산광역시 : 일 평균 강수량

일 평균 강수량

강수량

  • 데이터 : 날짜, 지점, 강수량 등

마무리하며

모든 데이터를 다 쓸 수는 없겠지만 적절히 조합하여 전처리, 정규화 후 데이터 분석 모델에 적용하여 침수 재해의 주요 요인을 분석할 예정이다.

댓글남기기